FINA 다이빙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NA 다이빙 월드컵은 국제 수영 연맹(FINA)이 주최하는 다이빙 대회이다. 중국이 금메달 134개, 은메달 61개, 동메달 30개로 총 225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역대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1979년 미국 더 우드랜즈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중국이 총 7번 개최하여 가장 많은 다이빙 월드컵을 개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드컵 - 럭비 월드컵
럭비 월드컵은 세계 럭비가 주관하는 럭비 유니온 최고 권위의 대회로, 4년마다 20개국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이다. - 월드컵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 2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발틱컵
발트 3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발틱컵은 주변 국가들이 초청되어 참가하기도 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소련 점령기에 중단되었다가 발트 3국 독립 이후 재개되어 발트 3국의 축구 발전과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 2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세계태권도연맹 주관의 국제 대회로, 1973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메달 획득 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최근 다른 국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FINA 다이빙 월드컵 | |
---|---|
기본 정보 | |
종목 | 다이빙 |
주관 | 국제 수영 연맹 |
첫 대회 | 1979년 |
주기 | 격년 (올림픽 해에는 개최되지 않음) |
역대 대회 | |
1회 | 1979년 - 미국 더우드랜드 |
2회 | 1981년 - 멕시코 멕시코시티 |
3회 | 1983년 - 미국 더우드랜드 |
4회 | 1985년 - 중국 상하이 |
5회 | 1987년 - 이집트 카이로 |
6회 | 1989년 - 미국 인디애나폴리스 |
7회 | 1991년 - 캐나다 위니펙 |
8회 | 1993년 - 중국 베이징 |
9회 | 1995년 - 미국 애틀랜타 |
10회 | 1997년 - 멕시코 멕시코시티 |
11회 | 1999년 - 뉴질랜드 웰링턴 |
12회 | 2000년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13회 | 2002년 - 스페인 세비야 |
14회 | 2004년 - 그리스 아테네 |
15회 | 2006년 - 중국 창수 |
16회 | 2008년 - 중국 베이징 |
17회 | 2010년 - 중국 창수 |
18회 | 2012년 - 영국 런던 |
19회 | 2014년 - 중국 상하이 |
20회 | 2016년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21회 | 2018년 - 중국 우한 |
22회 | 2020년 - 일본 도쿄 (취소됨) |
23회 | 2022년 - 독일 베를린 |
24회 | 2024년 - 중국 시안 |
2. 역대 메달 집계 (1979-2022년)
1979년부터 2022년까지 FINA 다이빙 월드컵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국가는 중국이다. 중국은 금메달 134개, 은메달 61개, 동메달 30개로 총 225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러시아 (총 45개), 미국 (총 51개)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은 동메달 1개를 획득하여 23위를 기록했다.
2. 1.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중국 | 134 | 61 | 30 | 225 |
2 | 러시아 | 11 | 22 | 12 | 45 |
3 | 미국 | 11 | 18 | 22 | 51 |
4 | 독일 | 4 | 17 | 18 | 39 |
5 | 캐나다 | 4 | 13 | 19 | 36 |
6 | 멕시코 | 3 | 6 | 13 | 22 |
7 | 오스트레일리아 | 2 | 12 | 19 | 33 |
8 | 소련 | 1 | 8 | 6 | 15 |
9 | 영국 | 4 | 4 | 9 | 17 |
10 | 우크라이나 | 0 | 3 | 4 | 7 |
11 | 말레이시아 | 1 | 2 | 2 | 5 |
12 | 동독 | 0 | 1 | 3 | 4 |
13 | 쿠바 | 0 | 1 | 2 | 3 |
14 | 이탈리아 | 0 | 1 | 3 | 4 |
15 | 일본 | 0 | 2 | 3 | 5 |
16 | 오스트리아 | 0 | 1 | 1 | 2 |
17 | 프랑스 | 0 | 1 | 1 | 2 |
18 | 자메이카 | 0 | 1 | 0 | 1 |
19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 | 1 | 0 | 1 |
20 | 스페인 | 0 | 0 | 2 | 2 |
21 | 벨라루스 | 0 | 0 | 1 | 1 |
22 | 카자흐스탄 | 0 | 0 | 1 | 1 |
23 | 대한민국 | 0 | 0 | 1 | 1 |
24 | 콜롬비아 | 0 | 0 | 1 | 1 |
25 | 체코슬로바키아 | 0 | 0 | 1 | 1 |
FINA 다이빙 월드컵은 1979년 미국 더 우드랜즈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개최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1993년 베이징, 2006년 베이징, 2008년 베이징, 2014년 상하이, 2018년 우한 등 여러 차례 대회가 열렸다.
3. 역대 개최지
3. 1. 개최 도시 목록
연도 | 개최 도시 | 비고 |
---|---|---|
1979 | 더 우드랜즈 (미국) | |
1981 | 멕시코시티 (멕시코) | |
1983 | 더 우드랜즈 (미국) | |
1985 | 상하이 (중국) | |
1987 | 아멜스포르트 | |
1989 | 인디애나폴리스 (미국) | |
1991 | 위니펙 (캐나다) | |
1993 | 베이징 (중국) | |
1995 | 애틀랜타 (미국) | 조지아 공과대학교 |
1997 | 멕시코시티 (멕시코) | |
1999 | 웰링턴 (뉴질랜드) | |
2000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국제 수영 센터 |
2002 | 세비야 (스페인) | |
2004 | 아테네 | OACA 수영 센터 |
2006 | 베이징 (중국) | |
2008 | 베이징 (중국) | 수이리팡 |
2010 | 창저우 (중국) | |
2012 | 런던 (영국) | 아쿠아틱스 센터 |
2014 | 상하이 (중국) | 동방 체육 중심 |
2016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
2018 | 우한 (중국) | 우한 체육 중심 |
2021 | 도쿄 (일본) |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 |
2022 | 베를린 (독일) | |
2023 | 베를린 (독일) | 슈퍼 파이널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